1 청년 농업인을 위한 정부 지원 완벽 분석 & 혜택부터 신청 방법까지 - 선의 블로그

청년 농업인을 위한 정부 지원 완벽 분석 & 혜택부터 신청 방법까지

반응형

 

저 자신도 시골 출신이기에  여러가지 지원에 대해서 알아보고 공부를 해보니 이런 지원도 있었구나 하는 걸 많이 알게 되어 포스팅을 해보려합니다 두서가 없더라도 끝까지 읽어 주시면 큰 힘이됩니다. 그럼 시작하겠습니다.

 

 

 

 

 

청년 농업인(만 18~39세)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은 농업 분야의 젊은 인재 유입과 안정적인 영농 정착을 촉진하기 위한 정부 및 지자체의 핵심 정책입니다.  

 

 

 

1.지원 프로그램 개요

청년 농업인 지원은 창업자금, 경영자금, 교육, 농지, 주거 등 다각적인 혜택으로 구성됩니다. 주요 기관으로는 농림축산식품부, 농촌진흥청(RDA), 지자체, 그리고 그린대로(Green Daero)가 포함됩니다. 이 프로그램들은 농업의 고령화 문제를 완화하고, 젊은 농업인의 안정적인 경영체 성장을 유도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.

 

 

 

2.주요 지원 항목

🔸금융 및 자금 지원
 ① 영농정착지원금 (청년농업인영농정착지원사업)
    ➮지원 내용: 최대 3년간 월 110만~90만 원 지원, 독립경영 기간에 따라 차등 지급.
    ➮자격: 만 18~39세, 독립경영 3년 이내 청년농업인.
    ➮예시: 공주시의 경우, 2023년 기준 최장 3년간 110~90만 원 지원.
    ➮문의: 지역 농업기술센터 또는 청년농업인 상담 콜센터(1670-0255).

 ②후계농업경영인 육성자금
    ➮지원 내용: 최대 5억 원, 이자율 1.5%, 5년 무상환, 20년 상환.
    ➮자격: 후계농업인(농지를 물려받아 경영).
    ➮문의: NH농협은행(1661-3000, NH농협은행).

 ③청년스마트팜 종합자금
    ➮지원 내용: 최대 30억 원, 농신보 보증 90%.
    ➮자격: 만 18~39세, 농업 관련 학과 졸업자 또는 스마트팜 보육센터 졸업자.
    ➮목적: 스마트팜 설립 및 운영 지원.
    ➮문의: NH농협은행(1661-3000).
 
 
🔸농지 및 시설 지원
  ① 공공임대·농지매매·임차임대
    ➮ 지원 내용: 공공 농지 임대 또는 매매, 표준 임대료 50~100%, 매매 지원 1ha당 2억 5400만 원, 이자율 1%.
    ➮ 자격: 청년창업후계농업경영인(우선).
    ➮ 문의: 농지은행 상담센터(1577-7770, 농지은행).

  ② 농지 선임대후매도
    ➮ 지원 내용: 최대 30년 임대 후 소유권 이전, 0.5ha까지, 이자율 1%, 임대료 50%.
    ➮ 자격: 만 39세 이하, 맞춤형농지지원 한도 내.
    ➮ 문의: 농지은행 상담센터(1577-7770).

  ③ 맞춤형 농지지원 (농업스타트업단지)
    ➮ 지원 내용: 스마트팜 준비된 농지의 장기 임대 또는 매매.
    ➮ 자격: 만 18~39세.
    ➮ 문의: 한국농어촌공사(061-338-5734).

  ④지역특화 임대형 스마트팜
    ➮ 지원 내용: 제천, 평창 등 지역에서 스마트팜 임대.
    ➮ 자격: 만 18~40세, 한국 국적.
    ➮ 문의: 지역 시군 농정과 또는 농업기술센터.

  ⑤비축농지 임대형 스마트팜
    ➮ 지원 내용: 공공 토지 장기 임대, 예: 음성, 군산 등(2023년 선정 완료).
    ➮ 자격: 만 39세 이하, 농지 소유 이력 없음.
    ➮ 문의: 한국농어촌공사(061-338-5886).
 
 
🔸교육 및 컨설팅 지원
  ① 스마트팜 청년창업 보육센터
    ➮ 지원 내용: 이론 및 실습 교육, 수강료 및 생활비 지원.
    ➮ 자격: 만 18~39세.
    ➮ 문의: 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(044-861-8767, 농업교육포털).

  ② 농업교육포털
    ➮ 지원 내용: 농업 기술, 경영, 교육 콘텐츠 제공, 모든 한국 국민 대상.
    ➮ 문의: 1811-8656.

  ③ 청년귀농 장기교육
    ➮ 지원 내용: 4~6개월 교육, 교육비 6000~9000만 원(참가자 부담 10%).
    ➮ 문의: 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(02-2058-2852).
 


🔸주거 지원
  ① 청년농촌보금자리조성사업
    ➮ 지원 내용: 임대 주택, 임대료 800만~2500만 원/월, 보증금 5000만~2억 5000만 원.
    ➮ 자격: 만 18~39세 청년농업인, 신혼부부.
    ➮ 문의: 지역 시군 농정과 또는 농업기술센터.
 

 

3.자격 조건 및 제외 대상

🔸 대부분의 프로그램은 만 18~39세 또는 40세 이하를 대상으로 하며, 독립경영 3년 이내, 한국 국적 등이 주요 조건입니다.
예외적으로, 소득 또는 자산이 높은 경우 제외될 수 있습니다. 예: 2021년 기준 건강보험료 기준(개인 가구 192,080원 이상 등).

 

 

4.신청 및 문의

  ① 신청 방법: 지역 시군 농정과, 농업기술센터, 또는 그린대로(Green Daero)를 통해 가능.
  ② 문의:
    ➮ 청년농업인 상담 콜센터: 1670-0255
    ➮ 농지은행 상담센터: 1577-7770
    ➮ 그린대로: 관련 웹사이트 참조.

 

5.추가 정보

🔸 똑똑! 청년농부: RDA에서 운영하는 청년농업인 지원 포털, 다양한 정보 제공(똑똑! 청년농부).
탄탄대로: 청년농 통합 플랫폼, 귀농귀촌 관련 정보 제공(탄탄대로).

 

 

 

6.표: 주요 지원 프로그램 요약

프로그램명지원 내용자격문의
영농정착지원금 월 110~90만 원, 최대 3년 만 18~39세, 3년 이내 1670-0255
후계농업경영인 육성자금 최대 5억 원, 이자율 1.5% 후계농업인 NH농협은행(1661-3000)
청년스마트팜 종합자금 최대 30억 원, 농신보 보증 90% 만 18~39세, 관련 졸업자 NH농협은행(1661-3000)
공공임대·농지매매 임대료 50~100%, 매매 2억 5400만 원/ha 청년창업후계농업경영인 농지은행(1577-7770)
스마트팜 청년창업 보육센터 교육비 및 생활비 지원 만 18~39세 044-861-8767
청년농촌보금자리조성사업 임대료 800만~2500만 원/월 만 18~39세, 신혼부부 지역 시군 농정과

이 보고서는 청년 농업인의 성공적인 영농 정착을 위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며, 추가 문의는 관련 기관의 콜센터나 웹사이트를 통해 가능합니다.

반응형
  • 네이버 블로그 공유
  • 네이버 밴드 공유
  • 페이스북 공유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